뉴비의 천방지축 IT 블로그

전체 글 45

백준 1단계 C 풀이

1 - 1단계 (2557번) 더보기 #include int main(){ printf("Hello World!"); return 0; } 1 - 2단계 (1000번) 더보기 #include int main(){ int a, b; scanf("%d%d",&a,&b); printf("%d",a+b); return 0; } 1 - 3단계 (1001번) 더보기 #include int main(){ int a, b; scanf("%d%d",&a,&b); printf("%d",a-b); return 0; } 1 - 4단계 (10998번) 더보기 #include int main(){ int a, b; scanf("%d%d",&a,&b); printf("%d",a*b); return 0; } 1 - 5단계 (1008번..

[Packet Tracer] 동적라우팅과 재분배 (RIP / EIGRP / OSPF)

오늘은 정적라우팅에 이어 동적라우팅과 재분배까지 할 거예요! 우선 동적라우팅이란 간단하게 말하자면, 내가 수동으로 연결이 안 된 네트워크 대역을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닌 라우터가 직접 자기가 연결이 안 된 네트워크 대역을 연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동적라우팅 동적라우팅에는 RIP, EIGRP, OSPF 이렇게 3가지가 있습니다. RIP 설정이 쉬운 라우팅 프로토콜로써 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합니다. EIGRP Cisco Router 전용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OSPF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설정이 복잡하긴 하지만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동적라우팅 토폴로지 저번에 썼던 토폴로지를 또 사용할 거예요. Router0 Router1 #동적라우팅 - RIP R..

[Packet Tracer] IP 설정 및 정적 라우팅 (Static Routing)

안녕하세요. 오늘은 패킷트레이서 IP 설정을 할 것입니다. #토폴로지 #IP 설정 PC0 PC1 PC2 Router0 더보기 - IP 설정 Router>en //enable 줄여 쓰기 Router#conf t //터미널 들어가기 Router(config)#int g0/0 //int [port] → [port]로 들어가기 Router(config-if)#ip add 172.16.0.254 255.255.255.0 //ip 할당하기 Router(config-if)#no sh //shutdown 꺼주기 Router(config-if)#int s0/0/0 //s0/0/0로 넘어가기 Router(config-if)#ip add 10.0.0.1 255.255.255.0 //ip 할당하기 Router(config-i..

IP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에 했던 거에 이어서 IP 설정을 할 것입니다. ↓ 전에 했던 거 ↓ 2022.01.27 - [기능반/서버] - VMware로 실습 환경 구축하기 (Ubuntu / Windows 환경 구축) #토폴로지 #Client IP 설정 - IP 확인해보기 cmd 접속 >ipconfig /all 방화벽 설정 #Server 공통 설정 및 명령어 - root 계정 비밀번호 바꾸기 >sudo su passwd >password 입력 >passwd >바꿀 password 입력 >바꿀 password 한 번 더 입력 - root 계정으로 들어가기 >init 6 (재부팅) >login : root >바꿨던 password 입력 - vim 설치하기 >apt-get -y install vim - ubuntu..

Network/Server 2022.01.27

VMware로 실습 환경 구축하기 (Ubuntu / Windows 환경 구축)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습 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실습할 토폴로지 위와 같은 토폴로지로 구축할 예정입니다. #사용할 파일 #환경 구축 main server slave server main server와 동일하게 하되, 디스크 이미지 파일은 ubuntu 20.04로 사용해주었습니다. slave server를 켜주면 아래와 같이 뜹니다. 또 설정해줍니다. 그런 다음 계속 Done을 눌러주시면 이런 창이 뜹니다 router slave server와 동일하게 구축하였습니다. client client를 켜주면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야 됩니다. 이후엔 PC 설정하듯이 설정하면 끝납니다 #Network 설정 VMnet8 제외 다 지웠습니다. main server network adapter 설정 22.1.24.0/..

Network/Server 2022.01.27

라즈베리파이 2차시 (LAMP)

안녕하세요. 라즈베리파이 2차시 LAMP입니다. #LAMP란? L : Linux A : Apache2 - 오픈소스 웹서버 프로그램 - Nginx의 등장 이전까지는 웹서버의 대세였음 M : MariaDB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P : PHP - 웹 상에서 서버를 연동해서 실행하는 대표적인 언어 -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편리하게 함 - 웹서버에서 해석되는 스크립트 언어 웹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적으로 필요한 4가지 소프트웨어 #Table 만들기 - Table 만들기 & 설정하기 create table nefus(테이블명)( -> id int(20) unsingned not null auto_increment, -> name(하고 싶은 명) varchar(255) not null, -> generation(..

라즈베리파이 1차시 (LED & 버튼)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파이 1차시 LED와 버튼입니다. ☆버튼을 누를 때 LED가 켜지고 누르지 않을 때 LED가 꺼지게 만들기!☆ #코드 오늘 코드에서는 파이썬을 사용합니다! GPIO를 사용과 time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모듈을 가져와줍니다. (이 코드에서 time 함수는 안 썼습니다···) ... 왜 썼지... GPIO. setmode( )는 ( ) 안에 있는 것을 핀을 설정해주는데 이 코드에서는 BOARD로 설정해줍니다. b라는 변수 안에 12(핀 번호)를 저장해줍니다. GPIO.setup( )은 아두이노에서 PinMode( )와 같은 역할을 해주는데요, GPIO.OUT은 출력을, GPIO.IN은 입력을 의미합니다. 버튼에서는 뒤에 pull_up_down=GPIO.PUD_UP이라는 것을 볼..

Linux 정리 4차시 (Shell Script 2)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정리 4차시입니다. #Shell Script의 기본 문법 2 -조건문 if / elif / else를 쓰고 반드시 마무리엔 fi 써주기 if [ 조건식 ]; ← 이렇게 띄어쓰기를 꼭 써주기 if [ 조건식 ]; ← 이렇게 ; (세미콜론) 꼭 써주기 if / elif 를 쓸 때 ; (세미콜론) 뒤에 then 꼭 써주기 식을 쓰고 싶을 땐 `expr [쓰고 싶은 식]` (작은따옴표 XXX)을 써주기 (*와 /는 " "로 감싸주기) ex) `expr 3+2`/`expr 5"*"1` 문자열을 비교할 때 '같다'를 쓰고 싶으면 =를 쓰기 정수형끼리 비교할 때는 -eq, -ne, -gt, -ge, -lt, -le 등을 써주기 [ $a -eq $b ] : a와 b의 값이 같으면 참 [ $a..

Programing/Linux 2021.08.04

Linux 정리 3차시 (Shell Script)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정리 3차시입니다. #Shell Script란? Bash Shell(Terminal)에서 쓸 수 있는 명령어이며, 사용할 때는 vi(m) [파일명].sh라고 적어주시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C언어와 크게 다른 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Shell Script의 기본 문법 -변수 선언 변수명은 영어, 숫자, _만 사용 가능 변수명 쓸 때 띄어쓰기 절대 XX 변수 선언은 무조건 = 쓰기 변수를 사용하고 싶을 땐 항상 $ 쓰기 -출력문 printf/echo를 사용 printf는 C언어와 동일 ehco는 출력하면서 자동 줄바꿈이 됨 변수를 사용할 땐 반드시 띄어쓰기로 구분함 -입력문 read를 사용 -배열 C언어와 같이 배열의 인덱스(index)는 0부터 시작함 원소를 저장할 땐 ( ..

Programing/Linux 2021.07.31

Linux 정리 2차시 (기초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정리 2차시입니다. #File Descriptor란? 리눅스에서 process가 file을 다룰 때 사용하는 개념으로,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또한 File Table을 참조하면서 여러 파일들을 관리할 수가 있습니다. 정수 중에서도 음수 값을 사용할 수가 없으며, 0과 1, 2도 사용할 수가 없다. 0은 표준 입력(stdin)을, 1은 표준 출력(stdout)을, 2는 표준 에러(stderr)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fd X fd = 0 -> stdin fd = 1 -> stdout fd = 2 -> stderr #RunLevel이란? 시스템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쓸지 말지, 그래픽을 사용할지 말지 등을 구분..

Programing/Linux 202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