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비의 천방지축 IT 블로그

Programing/Linux 5

Linux 정리 4차시 (Shell Script 2)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정리 4차시입니다. #Shell Script의 기본 문법 2 -조건문 if / elif / else를 쓰고 반드시 마무리엔 fi 써주기 if [ 조건식 ]; ← 이렇게 띄어쓰기를 꼭 써주기 if [ 조건식 ]; ← 이렇게 ; (세미콜론) 꼭 써주기 if / elif 를 쓸 때 ; (세미콜론) 뒤에 then 꼭 써주기 식을 쓰고 싶을 땐 `expr [쓰고 싶은 식]` (작은따옴표 XXX)을 써주기 (*와 /는 " "로 감싸주기) ex) `expr 3+2`/`expr 5"*"1` 문자열을 비교할 때 '같다'를 쓰고 싶으면 =를 쓰기 정수형끼리 비교할 때는 -eq, -ne, -gt, -ge, -lt, -le 등을 써주기 [ $a -eq $b ] : a와 b의 값이 같으면 참 [ $a..

Programing/Linux 2021.08.04

Linux 정리 3차시 (Shell Script)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정리 3차시입니다. #Shell Script란? Bash Shell(Terminal)에서 쓸 수 있는 명령어이며, 사용할 때는 vi(m) [파일명].sh라고 적어주시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C언어와 크게 다른 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Shell Script의 기본 문법 -변수 선언 변수명은 영어, 숫자, _만 사용 가능 변수명 쓸 때 띄어쓰기 절대 XX 변수 선언은 무조건 = 쓰기 변수를 사용하고 싶을 땐 항상 $ 쓰기 -출력문 printf/echo를 사용 printf는 C언어와 동일 ehco는 출력하면서 자동 줄바꿈이 됨 변수를 사용할 땐 반드시 띄어쓰기로 구분함 -입력문 read를 사용 -배열 C언어와 같이 배열의 인덱스(index)는 0부터 시작함 원소를 저장할 땐 ( ..

Programing/Linux 2021.07.31

Linux 정리 2차시 (기초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정리 2차시입니다. #File Descriptor란? 리눅스에서 process가 file을 다룰 때 사용하는 개념으로,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또한 File Table을 참조하면서 여러 파일들을 관리할 수가 있습니다. 정수 중에서도 음수 값을 사용할 수가 없으며, 0과 1, 2도 사용할 수가 없다. 0은 표준 입력(stdin)을, 1은 표준 출력(stdout)을, 2는 표준 에러(stderr)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fd X fd = 0 -> stdin fd = 1 -> stdout fd = 2 -> stderr #RunLevel이란? 시스템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쓸지 말지, 그래픽을 사용할지 말지 등을 구분..

Programing/Linux 2021.07.28

OverTheWire bandit 0 ~ 5단계 풀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OverTheWire bandit 0~5단계 풀이입니다. #0단계 전 영어를 몰라서 번역이 따로 필요했습니다ㅎㅎ 0단계는 리눅스 명령어 ssh를 사용하여 여기서 나오는 포트로 접속하는 것이므로, 이렇게 써주시면 0단계는 끝납니다. #0 -> 1단계 1단계로 가기 위해서는 0단계에서 들어간 포트에서 비밀번호를 찾아야 합니다. 먼저 ls로 무슨 파일이 있는지 읽은 후에 cat을 써서 파일 안에 있는 비밀번호를 읽어와 줍니다. 그리고 현재 포트에서 나오고 싶으면 Ctrl + d를 눌러주시면 나오게 됩니다. #1 -> 2단계 이 포트로 들어가면 password를 입력하는 칸이 나오는데 아까 0 ->1단계에서 찾은 bo~~를 쳐주시면 됩니다. 0->1단계와 똑같이 ls로 파일을 확인해주었고, ..

Programing/Linux 2021.07.26

Linux 정리 1차시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정리 1차시입니다. #Linux란? Linux(리눅스)는 Windows, Mac OS와 같이 운영체제 종류 중 하나입니다. 리눅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Ubuntu, CentOS 등이 있습니다. Linux는 Unix라는 운영체제를 모방하여 만든 운영체제입니다. Linus Benedict Torvalds(1969.12.28 ~)라는 분이 Linux를 만들었고 GNU라는 프로젝트를 진행을 하셨습니다. GNU 프로젝트를 하시면서 만든 것들은 GCC, BASH, GDB, GNOME 등이 있습니다. #Linux 구조 #커널(Kernel)의 역할 - 물리적 자원 관리 커널은 물리적 자원(CPU, HDD, SSD, RAM, ...)을 관리해줍니다. CPU란 중앙처리장치를 말하며, 기억/해석/연..

Programing/Linux 2021.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