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패킷트레이서 IP 설정을 할 것입니다.
#토폴로지
#IP 설정
- PC0
- PC1
- PC2
- Router0
- IP 설정
Router>en //enable 줄여 쓰기
Router#conf t //터미널 들어가기
Router(config)#int g0/0 //int [port] → [port]로 들어가기
Router(config-if)#ip add 172.16.0.254 255.255.255.0 //ip 할당하기
Router(config-if)#no sh //shutdown 꺼주기
Router(config-if)#int s0/0/0 //s0/0/0로 넘어가기
Router(config-if)#ip add 10.0.0.1 255.255.255.0 //ip 할당하기
Router(config-if)#no sh //shutdown 꺼주기
- IP 확인하기
Router(config)#do sh r
- Router1
- IP 설정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nt s0/0/0
Router(config-if)#ip add 10.0.0.2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Router(config-if)#int g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0.254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
- IP 확인하기
Router(config)#do sh r
- Ping 확인
#정적 라우팅 (static routing)
위와 같이 노란색 박스 안에 있는 토폴로지만 ping을 주고받을 수 있고, 보라색 박스 안에 있는 토폴로지끼리만 ping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하늘색 박스 안에 있는 토폴로지끼리만 ping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까 PC0과 PC1에서 PC2로 ping을 보냈을 때 실패가 나온 겁니다. 그러면 PC0과 PC2 어떻게 통신할까요?
이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정적 라우팅입니다.
정적 라우팅은 말 그대로 내가 직접 연결이 안 된 네트워크들을 연결시켜줘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 동적 라우팅을 많이 사용하는데 오늘은 정적 라우팅을 사용할 것입니다.
- Router0
Router0은 하늘색 박스 안에 있는 네트워크 대역만 연결이 안 됐으므로, 저기만 연결해주면 됩니다.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p route 192.168.0.0 255.255.255.0 10.0.0.2
→ip route [연결할 네트워크 대역] [연결할 네트워크 대역 서브넷마스크] [연결할 네트워크 대역에 들어가면서 제일 먼저 마주치는 IP 주소]
- Router1
Router1은 노란색 박스 안에 있는 네트워크 대역만 연결이 안 됐으므로, 저 대역만 연결해주면 됩니다.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p route 172.16.0.0 255.255.255.0 10.0.0.1
- Ping 확인
IP 설정 및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을 이만 끝내겠습니다.
보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Network > Packet 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cket Tracer] 동적라우팅과 재분배 (RIP / EIGRP / OSPF) (0) | 2022.02.03 |
---|